※ 교과목별 교육내용은 해당 교과목을 클릭하면 볼 수 있습니다.
교과목명 | 학수번호 | 교과목 영역 | 학점 | 학년 | |
---|---|---|---|---|---|
나노공학개론 | ENA2001 | 전공기반 | 전공핵심 | 3 | 2 |
전자기와회로이론 | ENA2002 | 전공기반 | 전공일반 | 3 | 2 |
양자역학개론 | ENA2003 | 전공기반 | 전공일반 | 3 | 2 |
유기화학개론 | ENA2004 | 전공기반 | 전공일반 | 3 | 2 |
무기화학개론 | ENA2005 | 전공기반 | 전공일반 | 3 | 2 |
나노바이오개론 | ENA2006 | 전공기반 | 전공일반 | 3 | 2 |
기초나노공학설계 | ENA2007 | 전공기반 | 전공일반 | 3 | 2 |
고체물리개론 | ENA2008 | 전공기반 | 전공일반 | 3 | 3 |
물리화학개론 | ENA2010 | 전공기반 | 전공일반 | 3 | 3 |
열및물질전달개론 | ENA2011 | 전공기반 | 전공일반 | 3 | 3 |
나노재료1 | ENA3001 | 전공기반 | 전공핵심 | 3 | 3 |
나노소자1 | ENA3004 | 전공기반 | 전공핵심 | 3 | 3 |
나노소자2 | ENA3005 | 전공기반 | 전공핵심 | 3 | 4 |
고급나노공학설계 | ENA2013 | 전공기반 | 전공일반 | 3 | 3 |
나노광학개론 | ENA3007 | 전공기반 | 전공일반 | 3 | 4 |
나노유체역학 | ENA3008 | 전공기반 | 전공일반 | 3 | 4 |
유기나노전자소재및소자 | ENA3009 | 전공심화 | 전공일반 | 3 | 4 |
나노반도체특론 | ENA3010 | 전공심화 | 전공일반 | 3 | 4 |
나노물성측정분석 | ENA3011 | 전공심화 | 전공핵심 | 3 | 4 |
나노에너지소재개론 | ENA3012 | 전공기반 | 전공일반 | 3 | 4 |
나노공학종합설계 | ENA3015 | 전공심화 | 전공핵심 | 3 | 4 |
기초나노공학실험1 | ENA2014 | 실험실습 | 실험실습 | 2 | 2 |
기초나노공학실험2 | ENA2015 | 실험실습 | 실험실습 | 2 | 3 |
나노공정실험 | ENA3016 | 실험실습 | 실험실습 | 2 | 3 |
나노소자실험 | ENA3017 | 실험실습 | 실험실습 | 2 | 4 |
나노전자재료학 | ENA3024 | 전공기반 | 전공핵심 | 3 | 3 |
나노재료물성전산모사 | ENA3025 | 전공기반 | 전공핵심 | 3 | 4 |
바이오시스템공학 | SNT4001 | 전공심화 | 전공일반 | 3 | 3 |
에너지저장및변환소재 | SNT4002 | 전공심화 | 전공일반 | 3 | 4 |
나노바이오산업의이해 | SNT4003 | 전공심화 | 전공일반 | 3 | 4 |
나노양자소자개론 | SNT4005 | 전공기반 | 전공일반 | 3 | 3 |
단백질생체소재학 | SNT4006 | 전공기반 | 전공일반 | 3 | 3 |
이 교과목에서는 자연계에 존재하거나 합성에 의해서 제조된 바이오소재 및 나노구조체에 대한 내용을 소개합니다. 나노스케일 구조를 갖는 다양한 유기/무기 나노바이오소재의 물리화학적 특징, 합성 및 제조공정, 응용분야, 최근 발전동향 등의 순서로 강의가 진행될 예정입니다. 본 과목을 통하여 수강생들은 다양한 유기소재 (고분자, 리피드, 덴드리머 등)과 무기소재(금속나노입자, 반도체 나노입자 등)의 구조와 물리화학적인 특성에 대한 기본 개념 및 이론, 하향식과 상향식 방법에 의해 나노소재를 제조하는 공정기법, 바이오소재로 구성된 나노구조체 제조공정 및 나노바이오소재의 활용기술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 교과목에서는 나노크기의 유/무기 나노소재가 갖는 전기적 특성, 광학적 특성, 자기적 특성 및 화학적 특성에 대한 기초 원리와 이러한 특성들이 바이오분야와 융합되어 새로운 분석방법의 개발, 질병의 진단기법 개발, 질병치료 시스템 개발 등에 적용되는 실시예 들을 소개합니다. 본 과목을 통하여, 수강생들은 전기적 특성 및 광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유기/무기 나노소재(카본나노튜브, 그래핀, 금속나노입자, 양자점 나노입자, 자성나노입자 등)와 바이오소재 (단백질, 펩타이드, 유전자 등)를 융합한 다양한 분석 프로토콜 개발, 질병진단 센서의 제조 및 작동 원리, 약물전달 시스템 등에 대한 지식을 습득할 수 있습니다.
이 교과목에서는 나노스케일을 다루는 학문인 나노과학/나노공학기술과 의료기술의 융합분야를 다룹니다. 본 강의에서는 나노과학/나노공학적 접근을 통한 질병의 조기진단 및 부작용이 최소화된 혁신적인 새로운 치료기법 개발을 위한 나노소재의 설계 및 제조, 세포와의 상호작용 분석, 생체 내 주입된 나노소재의 약물학적 거동에 대한 기초이론을 소개합니다. 본 교과목을 통하여, 수강생들은 조기진단을 위한 분자영상 나노 조영제, 유전자 나노 전달체, 세포내 기능조절물질 전달효율 향상을 위한 나노기술, 항암치료(화학요업, 광학/온열 요법 등)효율 향상을 위한 나노기술, 세포치료제 효율 향상을 위한 나노기술 등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게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