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보기

Community

home

공지사항

세바시 공학특집 강연회 <2019 나노가 여는 미래> 안내
  • 글쓴이 관리자
  • 작성일 2019-05-14 14:09:49
  • 조회수 31492

안녕하세요.

CBS TV 세바시(세상을 바꾸는 시간, 15분)에서 공학특집 강연회 <2019 나노가 여는 미래>를 진행합니다.

본 강연은 나노공학 관련 강연자 5명의 강연으로 구성되어 있고, 

6월 4일 화요일 오후 7시에 서울 목동에서 진행됩니다. (19:00~21:30)

아래 강연회 안내를 보시고, 참가 가능한 학생은 나노공학과 행정실로 연락바랍니다.

# 행정실 번호: 031-299-4116

# 행정실 위치: 제2종합연구동 83234호



세바시 공학특집 강연회 <2019 나노가 여는 미래>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놀라움과 함께 미래에 희망을 품게 되는 시간! 과학과 기술의 가능성을 쉽고도 깊이 있게 소개해 온 세바시가 2019 나노과학 특집 강연회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나노기술은 이미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을 이끌고 있습니다. 그 잠재적 가치는 우리의 상상을 넘어선다고 합니다. 이번 특집 강연회에서는 우리가 몰랐던 나노과학의 가능성과 최신 연구 경향, 각 분야에서의 눈부신 활용의 현황을 지금 우리 시대 손꼽히는 나노과학 전문가들을 모시고 듣습니다. 이병훈 광주과학기술원 교수는 신소재를 활용해 새로운 트랜지스터, ‘그래핀 배리스터’를 기반으로 한 저전력 반도체 연구 중인 대표적인 나노과학자입니다.  한양대학교 안진호 교수는 메모리 분야 초격차를 이어갈 EUV 국내 최고의 전문가로 불립니다.

여성 과학자 세 분도 모셨습니다. 경희대 동서의학대학원의 박은정 교수는 글로벌 정보분석 기업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가 뽑은 ’2017년 연구 성과 세계 상위 1% 연구자’에 선정됐습니다. 삼성전자 종합기술원의 장은주 펠로우는 삼성 최초의 여성 펠로우로, 퀀텀닷 한 분야에 10년 이상 몰두해 기초연구부터 상용화까지 몰두 카드뮴이 없는 ‘Cd-free 퀀텀닷’ 기술을 독자 개발해 주목받고 있습니다. 표준과학연구원의 김미소 박사는 음향양자결정(Phononic Crystal)란 메타 물질을 이용해 기존보다 22배 이상 증폭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메타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을 개발했습니다.


미래 과학 강국의 주역이 될 청소년과 청년, 그리고 연령 불문, 성별불문 미래의 과학과 기술에 대해 알고 싶은 세바시 팬들이라면 누구나 즐길 수 있을 겁니다. 매해 만석을 기록한 만큼 이번에도 빠른 참여를 기다립니다.


# 세바시 관련 사이트 주소

https://sebasi.co.kr/class/187

목록





이전글 나노영챌린지 2019(Nano Young Challenge 2019) 공모전 안내
다음글 2019학년도 2학기 학사과정 교내장학금 신청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