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보기

home

나노공학과 전망과 진로

나노공학과 발전계획

  • 교육
    세계 최고 수준의 나노융복합 교육기관
  • 산업
    글로벌리딩 창업 및 미래 신산업 창출 주도
  • 연구
    세계적 수준의 창의적 연구성과 달성

2018년 신설된 나노공학과는 세계 최고수준의 나노융복합 교육기관, 세계적 수준의 창의적 연구성과 달성, 글로벌 리딩 창업 및 미래 신산업 창출 주도를 목표로, 특화된 교육과정 신설, 학과 교수들의 연구력 제고 및 학과 내실화를 성공적으로 달성학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세계 최고수준의 나노융복합 교육기관으로 발전해 나가기 위하여, 나노융복합 분야 교육 및 연구 경험을 갖춘 최고 교수진들을 주축으로 특화된 커리큘럼을 운영하고, 산업선도형 교육과정 개설을 통한 창업이 가능한 인재를 배출할 것입니다.

다양한 연구력 도약 비전을 설정하고, 연구중심 창업 선도 기술로 사회에 기여하며, 특히 창업에 성공하기 위해 필수적인 원천 기술 확보 연구에 주력할 것입니다. 이를 위하여, 나노융복합 소자에 대한 연구심화 및 기술 고도화/상용화를 강화하고, 감성, 헬스케어 웨어러블 나노 융복합 소자 원천기술을 확보 및 도시환경 개선을 위한 나노 융복합 소재/소자 개발 플랫폼을 상용화 기술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미, 세계적 원천기술 확보를 위하여, 창업 선순환 정착 사례의 선도적 세계 석학 SAINT 원장으로 초빙 (동경대, Kazunori, KATAOKA 교수) 하였으며, 향후 글로벌 리딩 창업 및 미래 신산업 창출 주도를 위하여, 연구 중심의 융복합 R&BD 커리큘럼 운영할 계획입니다.

나노공학과 분야 전망 및 진로

나노바이오
산업 진출 분야
의료진단, 식품진단, 동물진단, 환경진단, 의료기기, 정밀기기, 군사진단 등의 최첨단 진단기기 관련 분야
혈액 분석 기술, Point-of-care 진단 시스템, 감염성 질환 진단 나노바이오칩, 당뇨 및 뇌질환 관련 진단칩, 나노조영제, 나노생체소재 기반 약물전달기술 등의 제품군
관련 기업
의료진단, 식품진단, 동물진단, 환경진단, 의료기기 등의 정밀진단기기 기업
신약 및 바이오헬스 관련 바이오기업
화장품, 코스메슈티컬 관련 뷰티 기업
아모레퍼시픽, 미샤, 셀트리온, 한국콜마, 코스메카, 유한양행, 한독, 케어젠 등 국내기업
애기온테크, 아후라, 아미리스바이오테크, DNA제노텍, 니트로메드, 옵토스, 오써, 스템셀사이언스, 세라비테, 엑스디엑스 등 국외기업
나노에너지 환경
산업 진출 분야
차세대 박막형 태양전지, 투명전도성막, 저전력용 LCD, PDP, OLED, TSP등의 디스플레이 부품의 핵심소재, 대용량용 이차전지 및 에너지저장기술 관련 분야
새로운 배터리, 청정연료의 광합성, 양자태양전지, 다공질 촉매, 요염물질 제거용 다공질 물질, 금속 대체용 나노입자 강화 폴리머, 내마모성, 친환경성 타이어, 저에너지 수처리 시스템, 탈귀금속 촉매나노소재 관련 산업분야
IoT 적용 환경 나노센서, 나노기술 기반 각종 센서 기술 분야
관련 기업
공기질 개선용 하이브리드 모듈 시스템, 에너지 절약형 하이브리드 나노세공체 기술,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초전도 자기분리 기술, 유연 염료감응 태양전지, 연료전지용 고성능 전해질막/분리막 기술, 나노입자 기반 유기오염물질 산화분해기술, 대면적 투명전도막 기술 관련 기업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한국환경공단, 한국의류시험연구원, 환경보전협회, 환경부 등의 관련 국공립 연구, 인증 및 지원기관
MR퓨얼셀, 에콜로지코팅스, 에너지이노세이션스, 엔오션, 이노버라이트, 인테리전트에너지, MBA폴리머스 등의 다국적 에너지환경 기업
나노전자 나노공정 및 측정장비
산업 진출 분야
3D 나노소자, 웨어러블 전자제품, 로봇용 촉각센서 등의 융합기반 기술 분야
15nm를 뛰어넘는 반도체 미세공정 기술, CMOS 이미지센서의 새로운 기술 프런티어 기술 분야
유연전자소자, 지속가능한 에너지소비 기술, 차세대반도체 기술 분야
그래핀, 2D소재를 이용한 정밀소자 기술 분야
OLED 기반 기술, 3D 프린팅 기반 기술, 신소재 나노입자 합성장치, 나노섬유 멤브레인의 양산기술, 대면적 나노임프린트 장비 기술 등 공정 및 장비 분야
연구분야에서는 양자/분자 컴퓨터, 고기능 생체삽입소자, 체내 투입용 소형기계/로봇, 인공광합성 기술 등이 사회적으로 요구되므로 신산업분야가 이 분야를 통해 창출될 것임
관련 기업
반도체, 디스플레이 국내 기업: 삼성전자, 하이닉스, LG 전자, LG Display
장비 및 공정 관련 하이텍 기업: 주성엔지니어링, 솔브레인, 파트론
다국적 글로벌 기업: Intel, IBM, Applied Materials, ASM, ULVAC